블로그 이미지
Myung Joong KIM CEO of DiYPRO Co. & Rotterdam School of Management MBA 2012 kim.diypro@gmail.com
댄디킴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total
  • today
  • yesterday
작성중
posted by 댄디킴
작성중
posted by 댄디킴
세계 DIY 프로젝터의 흐름을 바꾼 다이프로
 7년전 김명중씨는 대학생이었다.

그런데 그는 신분에 어울리지 않게 수백만원을 호가하는 LCD프로젝터를 꿈꾸었다. 지금이야 50인치 이상의 화면을 접하는 것이 대형 LCD TV나 PDP TV의 보급과 함께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게 되었지만 7년전인 2002년 말에만 하더라도 대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가장 합리적인 방법은 프로젝터를 이용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어느 강의 도중 묘안이 떠올랐다. OHP를 이용한 수업이었는데, OHP의 구조를 보던 중 그 구조를 활용한 프로젝터를 상상하던 중 “그래, 내가 한번 만들어보자.” 는 생각이 든 것이다.
 
김명중씨는 외국 관련 사이트를 이 잡듯 뒤졌다. 그러던 중 LCD프로젝션패널이라는 기성품을 OHP와 함께 사용하여 일종의 프로젝터처럼 사용할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이렇게 사용하는 것은 크기가 너무 컸고 밝기나 램프의 사용시간도 생각만큼 길지 못했다. “OHP 그 자체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원리만을 이용하자”라는 생각을 하였고 경국 설계도를 그리고, 부품을 모으고, 조립을 하는 와중에 자작으로 엠프를 만들어본 사람들과 연이 닿았다. 그리고 마침내 프로젝터 DIY동호회인 다이프로(www.Diypro.net)가 탄생하기에 이르렀다. 이름을 다이프로로 하게 된 것은 Do It Yourself + Professional의 약자를 이용한 것이다.

물론 우여곡절도 많았다. “시작할때만 해도 LCD프로젝터는 대부분 OHP를 이용하여 만들었습니다. 또 워낙에 실질적으로 처음의 설계부터 시작하여 한대의 프로젝터를 완성한다는 개념은 국내는 물론이고 해외에도 없었기 때문에 자료나 부품을 구하기도 어려웠죠.” 그때 동호회의 힘이 발휘됐다. 공동구매를 통해 가격을 낮추고 회원들과 운영진이 직접 부품의 검증 작업을 진행한 것이다. 하지만 산발적으로 진행된 공동구매와 부품 검증 작업 때문에 불필요한 돈과 시간이 소요됐고, 몇몇 부품은 제외하면 안정적인 수급 또한 여전히 어려웠다.

이를 고민하던 김명중씨는 동호회를 시작한지 6개월만에 결단을 내리게 된다. 안정적으로 부품을 수급하고 DIY 프로젝터를 대중화하기 위해 쇼핑몰(다이몰 diypro.co.kr)을 개설한 것이다. 그의 열성을 높이 산 부모님은 집 한켠을 개조해주셨고, 다이프로의 일이라면 무조건 열성이었던 동호회 회원들이 생업을 접고 사무실로 합류하는 끈끈함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시련은 있었다. 저가의 질 낮은 중국산 DIY LCD 프로젝터들이 초보자에게 잘못된 인식을 심어주었고 동호회의 상업화를 반대하는 회원들도 있었다.

현재 다이프로는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주목받는 DIY 프로젝터 전문 동호회이다. 최근에는 프로젝터들의 가격이 7년전 처음 시작할때에 비해 엄청나게 저렴해져서 자연히 자작프로젝터를 찾는 사람의 수도 많이 감소를 하였다. 처음에 자작프로젝터가 기존 상용프로젝터들에 비해서 가지고 있는 초기 구입비용, 유지비, 직접만드는 즐거움 중에서 소비자들에게 가장 어필이 되는 요소였던 초기구입비용에 매력이 없어져 버린것이다.

김명중씨는 지금의 프로젝터들을 잉크젯 프린터에 비유한다. 초기 구입비용은 저렴하지만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서 소모품(램프)가 고장이 나게 되면 그 교체비용이 40만원 가량이 들어가게 되기 때문이다. 반면 자작프로젝터는 램프의 교체 비용이 3만원 가량이고 수명도 1.5배 정도로 길어서 유지비면에서 상당한 매력이 있다. 하지만 램프의 가격이 저렴한만큼 밝기가 기존 제품에 비해 어두워서 프리젠테이션 등의 용도로 사용하기보다는 가정에서 홈씨어터용으로 사용하기에 적당하다.

과거에는 다이프로에서 취급되는 자작프로젝터가 세이뷰와 같은 완성품과 이코뷰 같은 자작키트 등이 있어 조금 더 쉽게 소비자들이 다가갈수 있었지만 현재는 새롭게 광학사업으로 진입하면서 기존 프로젝터 사업을 많이 축소하여 키트나 완성품은 없어 아쉬운 상황이다.
 
 
자작프로젝터를 넘어 광학기업으로, 다이프로

다이프로는 프로젝터라는 한분야에 7년이라는 긴 시간의 경력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세이뷰, 이코뷰, 뷰셀, 발해 등의 4개 카테고리 8개이상의 자작프로젝터 완성품과 조립키트를 만들었다. 그중에는 2006년 LG전자에서 발표되어 세계3대 디자인 상을 휩쓸은 벽걸이프로젝터도 있는데 이것 역시 다이프로에서 2004년도에 개발된 벽걸이 프로젝터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간 것이라 추측될 만큼 기술력과 아이디어도 인정받고 있다.

지금 다이프로는 이런 소비자의 욕구 변화와 시장의 변화앞에서 스스로의 변신을 진행하고 있는 중이다. 현재 프로넬 렌즈와 광학전반사 거울에 비중을 두고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동안 프로젝터를 설계하며 쌓아온 광학산업에 대한 지식과 제품 생산 공정을 이용하였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프로넬 렌즈의 경우 자체 설계와 생산 공정을 가지고 있어 업체에서 어떠한 요구를 해와도 그에 대응이 가능하다. 아직까지는 기존의 설비를 이용하기 때문에 300mm*300mm 이상의 프로넬렌즈를 생산하는 것이 어렵지만 점차적으로 설비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제품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는 중이다.

현재 개발되어 있는 제품들은 볼록, 오목렌즈의 역할을 하는 프로넬렌즈와 그 렌즈들에 알루미늄 증착코팅을 하여 미러의 형태로 ATM기계들에 사용이 되는 컨백스미러(Flat Convex mirror)제품 그리고 프리즘의 역할을 하는 Linear Fresnel이 있다.
최근 태양광 산업에 대한 관심이 많이 있는 것이 기회가 되어 프로넬렌즈에 대한 많은 문의가 다이프로에 들어오고 있다고 한다.
 
광학전반사 거울(Front-Coated Mirror)은 주로 프로젝터, 카메라 그리고 복사기 등 전문적인 광학기기들에 많이 사용되어 소비자는 쉽게 볼 수 없는 제품이다. 보통 사용되는 거울과는 크게 3가지 다른 점이 있는데 반사율과 편평도 그리고 반사면이다. 반사율의 경우 일반 거울들이 80% 대의 반사율을 가지고 있는데 비하여 광학표면경은 최대98%의 반사율을 가지고 있다. 또한 표면의 굴곡정도인 편평도가 높아 반사되어 비춰진 상이 울어보이거나 왜곡되어 보이는 현상이 없고 거울의 반사면이 유리뒷면에 위치하는 것이 아닌 전면에 위치하는 전반사 형태이기 때문에 일반의 거울을 이용하였을 때 나타나는 상이 두세겹으로 나오는 현상, 즉 고스트 이미지(Ghost Image)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런 세가지가 결합이 되어 일반 거울에 비해 전반사 광학 거울은 체감하기에 30%가까이 선명한 화면을 시청자에게 보여주게 된다. 최근에는 학교에 설치되는 전자칠판과 일반이나 DVD방에서 사용하는 프로젝터의 화면크기를 늘리기 위한 합리적인 대안으로 전반사 거울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프로젝터의 화면을 확대하는 방법으로 프로젝터 앞에 있는 투사렌즈에 단초점렌즈를 추가로 구매하여 장착하는 방법이 있기는 원래 투사렌즈(Focus Lens)라는 것이 20만원이 넘는 고가이고 프로젝터에 따라 전용제품으로 되어 있어서 구하기도 어렵다. 그래서 간단하게 24000원에서 6만원가량의 비용으로 전반사를 이용한 화면확대방법이 많이 쓰이고 있고 국내에서는 거의 유일하게 2400mm ~ 150mm까지 다양하게 구비하고 있는 다이프로에서 많이 구매를 하고 있다고 한다.

앞으로도 당분간 다이프로는 앞서 설명한 프로넬 렌즈와 전반사 광학거울을 집중으로한 광학사업에 집중을 할 예정이라고 한다.
다이프로 바로가기
http://diypro.co.kr
posted by 댄디킴

그린워싱의 7가지 죄악들

 분류없음
환경 친화적이라고 하면 무조건 ‘착한 상품’일까. 꼭 그렇지도 않다. 미국의 친환경 마케팅 조사업체 테라초이스는 최근 ‘그린 워싱(green washing)의 7가지 죄악’이라는 제목의 흥미로운 보고서를 내놓았다. 그린 워싱은 자사 상품이나 서비스의 환경 친화적인 특성을 부풀리거나 조작해 경제적 이득을 얻는 행위를 일컫는 말이다. 돈세탁처럼 부도덕한 행위다.

지난해까지 6가지였던 그린 워싱의 죄악1)에 올해 ‘잘못된 인증마크에 대한 맹신(worshiping false labels)’ 항목이 더해졌다. 일부 기업들이 공인되지 않은 자체 환경 인증마크나 슬로건을 제품 포장에 써넣고, 마치 공신력 있는 기관의 인증을 받은 것처럼 선전하고 있다는 뜻이다.

테라초이스가 미국과 캐나다에서 친환경을 내세우는 상품 2219개를 조사한 결과, 이 7가지 죄악을 저지르지 않은 상품은 25개에 불과했다. ‘그린 코드’를 강조한 상품의 98%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잘못을 저지르고 있다는 얘기다. 특히 장난감과 유아용품, 화장품, 세제 등의 상품에서 이런 현상이 두드러졌다.

일각에서는 “조사 결과가 지나치게 자의적”이라며 의문을 제기하지만, 적어도 마케터가 빠지기 쉬운 유혹을 조목조목 짚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더군다나 요즘 소비자들이 어떤 사람들인가.

정지혜 LG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최근 내놓은 보고서 ‘그린 마케팅의 불편한 진실과 과제’에서 “소비자들은 윤리적으로 무엇이 옳은지 알면서도 여전히 싸고 편리한 것을 포기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의 한 소비자 조사 결과에 따르면, 친환경 소비자로 분류된 이들의 대부분은 환경 친화적인 소비에 찬성하지만 가격이나 품질과 같은 다른 조건을 포기할 생각은 없는 이른바 ‘그린 유동층’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성향이 이럴진대, 슈퍼맨처럼 ‘지구를 살린다’거나 ‘환경을 보호한다’는 식의 모호하고 막연한 주장은 뻔한 상술에 불과할 뿐이다.

그린 워싱의 오해를 받지 않고 ‘그린 유동층’의 흔들리는 마음을 사로잡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테라초이스는 7가지 죄악을 피할 수 있는 각각의 대안을 내놓았다. 마케터가 ‘그린 코드’를 주장할 때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고객이 공감할 수 있는 구체적인 용어를 쓸 것을 강조했다. 사실과 다른 과장을 피하고, 객관적으로 검증된 공인 인증마크를 활용하라는 충고도 덧붙였다.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 전반에 걸친 환경적 영향을 충분히 이해한 후 이를 바탕으로 마케팅을 시작하고, 고객과의 충분한 정보 공유와 참여 유도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빠지지 않았다.

정지혜 연구원은 그린 마케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그린이 아닌 다른 것을 팔아라(customer value positioning) △고객 공감으로 심리적 캐즘을 극복하라(calibration of consumer know-ledge) △부분이 아닌 전체의 관점에서 접근하라(credibility) 등의 3가지 대안을 제시했다.

상품이 아닌 서비스에 집중할 때 ‘환경 보호’와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라는 2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 남기찬 서강대 경영전문대학원 부원장은 동아비즈니스리뷰(DBR) 30호에 기고한 글에서 “새로운 서비스 2.0 시대에는 제품을 판매해야만 가치가 만들어진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며 “기업이 판매하는 상품은 그 자체로 가치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매개체라는 시각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실질적인 가치 ‘창출’은 고객들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해 자신들이 원하는 근원적인 가치를 얻을 때 일어난다는 뜻이다. 애플의 MP3 플레이어 아이팟과 온라인 음악 서비스 아이튠은 음반이라는 상품이 아닌 음악 서비스에 집중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했다. 그 결과 CD 음반 제작에 들어가는 엄청난 양의 자원을 줄일 수 있게 됐다. 패러다임의 전환이 가장 성공한 ‘그린 코드’ 상품을 만들어낸 셈이다. 이 사례는 ‘그린 마케팅’은 요란한 구호가 아니라 발상의 전환에서 시작해야 한다는 점을 일깨워준다.

1) 6가지 죄악은 숨겨진 이율배반(hidden tradeoff), 증거 부족(no proof), 모호성(vagueness), 부적절(irrelevance), 유해성의 축소(lesser of two evils), 사소한 거짓말(fibbing)이다.

이 글은 동아비즈니스리뷰(DBR) 33호에 실린 글입니다.

posted by 댄디킴
CSR에 대한 정의와 그와 관련된 마케팅 그리고 메타브랜딩에서 그것을 적용한 사례까지 잘 들어가 있습니다.
하지만 메타브랜딩의 활동이 기업의 ID를 잘 반영한 것인지는 조금 아쉽습니다.


p.s
메타브랜딩의 CSR활동이 기업 ID와 잘 어울리는 것인지 모르겠다는 이야기를 했는데...
갑자기 박항기 대표님의 큰뜻을 이해도 못하고 이런 소리를 한건 아닌지 덜컥 겁이... ㅡ.ㅡ;;
대표님 죄송해요~ ㅋ
posted by 댄디킴
최근 마케팅 서적을 조금 벗어나서 경영 서적을 읽으면서 느끼는 사실이 있다.
주식투자를 하는데 있어서 기존에 나의 방법이 잘못되었다는 것이다.
주로 기업을 선정하는데 있어 펀드메니저의 추천을 받았던 1단계를 지나
기업의 내부 로열티를 생각하는 2단계 그리고 지금 단순히 로열티만을 감안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내의 성장동력이 될수 있는 몇가지 가치들에 대해 고려하는 3단계까지 오게 되었다.
대형주에 투자하면 10년 후에는 오를수 밖에 없다는 막연했던 나의 기대와는 다른 결론을 닿게 되었다.

이전 가까운 지인이 증권회사에 리스크메니징팀에 들어갔을때 그에게 마케팅 관점에서의
e-risk management에 대해서 추천하였던 적이 있다. 안타깝게도 상대는 전혀 필요를 느끼지 않아
없는 이야기가 되어버렸지만 지금에 와서는 다시 한번 강조해서 이야기를 하고 싶은 마음이다.

금융이 아닌 마케팅 전문가로서 경영에 대해 아는 약간의 지식을 가지고 있을뿐이지만
Good to Great 에서 포쳔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평가를 하였던 것처럼
나 역시 국내의 기업들에 대해 이런 과정의 평가를 진행해보고 싶다.

평가기준
1. CEO와 직원 사이 다른 대우를 받는 일이 있다? (차별대우)
2. 직원 사이에 업무에 관심이 없는 직원에 대한 제재를 가하는 문화가 있다?
3. CEO가 회사의 현실을 직시한 경영을 펼치고 있는가?
4. 보람없이 돈이 된다고 판단하는 일에만 투자를 하는가?
5. 카리스마있는 CEO가 있는가? 혹은 스스로 엄격하고 직원에 너그러운 CEO가 있는가?

위의 내용은 직원과의 인터뷰와 기사를 통하여 판단하는 것으로 한다.
posted by 댄디킴

두가지를 느낄수 있다.
1. PT 잘만들었다.
2. 물 좀 적게 쓰자.

가능하면 2번을 느끼자

http://www.millionface.com/l/water-and-thirst-importance-and-scarcity-you-and-me/

posted by 댄디킴
이 책은 쉽다.
회계책이라기보다는 다소 평이하기는 하지만 잘 쓰여진 인터넷 소설느낌이다.
소설보다 중요한 것은 책안에 회계가 기업에서 어떤 역활을 해낼수 있는지 그리고 해야하는지에 대해서 잘 다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언제나 마케팅을 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중의 하나가 현장에서 진행을 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회계에 대한 것 역시도 그렇게 현장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사실은 전혀 인지를 하고 있지 못했다.
그리고 일전에 프래그머티스트를 하면 홍승표 회계사님에게 배운 회계가 분명 나의 사업계획서를 작성하거나
손익을 계산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생각은 했지만 이것이 내가 몸담고 있는 혹은 관계된 한 회사의
흐름을 알수 있는 아주 중요한 기재가 된다는 것은 생각지를 못했다.
비록 간단하게 읽을수 있는 책이지만 그 내용은 다시 한번 읽어봄직하다.
posted by 댄디킴
2009. 8. 13. 09:52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최근 웰빙인증의 제2의 성장을 위해 고민중에 있다.
미래의 트렌드, 정확하게 말하면 유행과는 다른 형태의 흐름에 발맞추어 가게 변화를 주고 싶고
또한 네이밍이나 디자인에도 약간의 변화를 주는 것은 어떨까 고민중이다.
그런 상황에서 최근 트렌드를 정리한 책을 읽고 싶었는데 마침 이전에 효진 형님에게 선물을 받아
책장에서 기다리고 있던 핫 트렌드 2009를 보게 되었다.

책에서는 아주 약간의 저자의 의견과 함께 현재 새로운 트렌드들에 대해서 사진과 함께 다루어주고 있다.
사진이 있어 참 고맙다. 말로만 봐서는 이해하기 힘든 것들이 많아서 말이다.
책에서 다루고 있는 전 분야에 걸친 이야기 중에 분명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는 있을것이다.
그렇다면 그부분에 대해서는 상당히 재미나게 읽을수 있을듯하다.
하지만 그 외의 분야는 글쎄... 좀 너무 트렌디하다는 느낌이 드는 것은 사실이다.
posted by 댄디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