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Myung Joong KIM CEO of DiYPRO Co. & Rotterdam School of Management MBA 2012 kim.diypro@gmail.com
댄디킴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total
  • today
  • yesterday
당장 내일이 인성의 김인수 대표님과의 미팅이다.
미팅에 앞서 떠오르는 생각을 한번 정리해본다.
우스운 소리일지 모르지만 현재 도시의 환경이 지금처럼 오염되어 있으니 식물공장이 가능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봤다.
그래 오염이라는 표현은 너무 일반화한 것이고 적어도 이산화탄소가 꽉 들어찬 것이 식물 성장에 도움이 되는건 아닐까 하는 생각말이다. 만약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포화량이 적었다면 식물공장을 위해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상황이 생겼을까?
다른 한가지 걱정은 과연 식물공장이 친환경적인가라는 것이다.
당장 보기에는 그렇다라는 생각이 있으니 정부에서도 녹색성장의 한 방법이라 생각하는듯하지만 결코 친환경적인 농업방식은 아니다.
지력이라는 것이 있다. 한장소에서 몇해고 농사를 지을수는 없는 노력이다. 더군다나 다년생이 아닌 한해살이 식물의 작농은 지력을 약하게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식물공장에서 소비지와 생산지의 근접함을 예로 들어 탄소배출량이 적다는 이야기를 했지만 이것은 단순히 생산된 작물에 대한 관점에서 바라봤을 경우뿐인 것이 아닐까?
지력유지를 위한 토양의 지속적인 교체가 이루어진다면 그것 역시 농산물을 이동하는데 발생하는 탄소량 못지 않을 것이다.
자연채광을 배재한채 (사실 이부분의 해결을 위해 김인수 대표님과 뵙게 되는거지만) 인공조명에 의존하는 것이 식물에게 어떤 영향을 주게 될까?
또한 클린룸에 있는 그 식물들이 과연 클린할까? 클린은 하겠지만 과연 진짜 식물의 역활을 할수있을까? 그저 우리가 사는데 필요한 것을 섭취하기 위해 만들어낸 또 하나의 괴물이 되는 것은 아닐까?
posted by 댄디킴
2010. 2. 9. 13:49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외부와의 경계 허물고 소통해야 창조적 윤리경영 가능”

철학과 경영의 한묶음이라...
책을 보고 강의를 듣고 사람들을 만나면서 내가 과거에 가지고 있던
물질주의에 대한 맹신, 시장, 언론이 가지고 있는 조정이 가능하지 않은 공정성에 대한 신념 등은 사실 이미 무너진지 오래이다.
그렇다고 현상황이 아니니 나도 검어지자 이런 생각은 아니기에 윤리경영이나 non-profit에 관심을 두고 있지만 과연 내 근본이 그쪽이 맞는지는 아직도 모르겠다. ㅎㅎ
때문에 얼른 일을 해보고 정말 내가 지금 가지고 있는 이 윤리경영, 지속가능을 위한 방향에 대한 믿음이 맞는지 확신을 가지고 싶다.
posted by 댄디킴

ok캐시백 왈
보험가입을 하시는게 동의하시는건 아니고요. 그냥 안내입니다. 괜찮으니죠?

신한보험 왈
여력이 않되서 그러세요?

"네,네" 와 "않해도 되요"를 반복한 4분 08초의 통화였다.
나는 나의 ok캐시백에 입력된 정보가 신한보험에 넘겨지는 것도 싫고 보험 상담을 받기도 싫었다.
거절을 해도 해도 계속 돌려돌려 말하더니 결국은 내 정보를 넘긴 OK캐시백이나
그 전화를 받아서 보험상담을 유도하다가 결국엔 않되니 "여력이 않되서 그러세요?"라며
사람 자존심까지 긁어서 어떻게든 가입하게 만드는 신한보험이나 둘다 쓰레기다.

제발 이글 보고 반성 좀 되었으면...

posted by 댄디킴
http://cafe.naver.com/pathelper/751

제주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③주요기업 전략

처음 시작될때의 예상과는 달리 LS산전의 경우에는 한분야를 주도적으로 잡아서
리딩해 나가지는 못하고 있는듯하다.
하드웨어는 강하지만 그것을 엮어내는 소프트웨어 파워가 약하다는 반증인가?

최근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은 포스코ICT에서 과연 어느정도로 스마트그리드를 잘 요리해낼것인가? 라는 것이다.
더군다나 과거 경합을 걸친 실증단지의 조성도 결국 포스코ICT에서 리딩해 나가기로 결정되었고
오늘자 신문 2월 5일에 개소식을 가지고 연구개발에 착수를 하였다.
과거 포스데이터는 와이브로 사업에서 실패를 한적이 있다. 물론 경영진은 교체가 되었다고 하지만 그당시의 경영진들이 책임을 지고 상당하게 개선된 부분이 존재하지는 않는듯하다. (어디까지나 나의 시선이다)
이번 프로젝트의 결과를 좌우하는 중요한 Key는 포스코ICT의 리딩 능력이 될것이다.
과연 박한용 사장의 리더십은 어떻게 발휘될 것인가?

<인터뷰> 박한용 포스코 ICT 사장
posted by 댄디킴
포스코 CO₂감축 모범사례 만들겠다

NH-CA운용, 투자기업에 CO₂배출량 공개 요구


전형적인 굴뚝 산업인 철강, 하지만 마치 유한킴벌리가 그러했듯이
지금의 포스코는 계속해서 자신들의 어쩔수 없는 limit을 극복하며 진보해 나가고 있다.
현대중공업 역시 친환경 관련된 다양한 사업, 특히 풍력과 태양전지를 다루고 있지만
그다지 진짜 환경에는 관심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과거 포스코의 내부 혁신을 위한 포레카 였던가?
직원들 교류 장소를 만든것도 그렇고 현재의 발자취도 그렇고...
감각적으로 많은 부분에 있어서 긍정적으로 평가가 된다.
객관적으로는 어떨까?
조만간 포스코와 LS산전, LG전자, 두산중공업, 삼성전자, 삼성SDI, 현대중공업을 대상으로 평가지표에 따른 평가를 해봐야 겠다.
posted by 댄디킴
현대重·LG·삼성 "이젠 태양전지다"

기사를 보면서 한가지 궁금한 점은 LG그룹 내에서 과연 LG전자가 여전히 맏형일까? 라는 것이다.
계속해서 느껴오는 차이이지만 삼성과 LG는 추구하는 방식이 좀 다르다는 느낌이다.
상인과 선비의 차이라고 할까?
제품 기준으로 보았을때 삼성은 가지고 있는 것 이상의 show up을 잘한다. 그에 비해 LG는 내실은 있는데 소비자 입장에서의 조금의 마감과 어필이 잘 않된다.
이건 처음이 생각을 가지게 된 15년 전에 비해 지금도 여전히 마찬가지이다.
(당시에 처음 생각을 가지게 된 계기는 사촌 컴퓨터을 고쳐주면서였다.)
워낙 고고하신 집안이라 그런가? 태양전지 산업도 LG디스플레이와 LG전자가 겹치는데 그게 왠지 걱정이 된다.
만약 삼성이 이 상황이라면 결국엔 되는 놈 하나 잡아서 않되는 넘은 삼성 카메라처럼 한쪽으로 몰아주게 될것이지만 왠지 LG전자의 경우는 걱정이 되는 것도 사실이다.
지금 LG전자의 주가는 매수를 하기에 적절하다는 생각이다. (물론 개인적 판단이고 적어도 3년은 들고 있는 다는 생각으로 이야기하는거다)
현재 조사중인 지속가능평가지표의 결과를 대입해보고 싶기도 하지만 아직까지는 데이터가 너무 적다.
정말 LG전자에 CMO가 대단한 사람이 하나만 들어와도 바로 살텐데... ㅎㅎ
posted by 댄디킴
경동나비엔, 경기도에 1400억원 투자

3년간 1400억원이라는 금액만이 명시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어떤 설비를 생산하기 위한 공장인지는 내용이 없다.
홈페이지를 방문했는데 업데이트가 잘 않되는 느낌이다.
연구설비가 아닌 생산 설비인거 같은데 뭘까?
posted by 댄디킴
농업이 녹색성장의 주역이 될수 있을것인가?
그렇게 믿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까지 어떻게 해야 된다는 생각은 감이 오지 않는다.
감이 오지 않는 부분이 정확하게 이야기하면 어떻게 유지를 위한 수익을 만들수 있을까? 라고 말하는 것이 솔직할듯하다.
이전과 구축단계에서 컨설팅 비용을 받는다. 구축과정에서 시설지원을 하고 비용을 받는다.
운영과정에 소비되는 자재를 판매하여 수익을 얻는다. 지극히 당연한 구조이다.
더 이상 획기적인 방안을 마련하기 보다 기본에 충실해야 하나?

posted by 댄디킴
체험학습을 통해 아이들은 정말 많은 것을 배우게 된다.
자유와 교육이 만났다. 배움이 커졌다. 에서 언급되는 것처럼 교과이외의
프로젝트 수업과 여러 활동들에서 아이들은 진정으로 커나갈수 있다.

교육의 중심인 서울을 벗어나서도 아이들이 정상적으로, 아니 오히려 더 성장할수 있는 방법이 무엇이 있을까?
posted by 댄디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