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Myung Joong KIM CEO of DiYPRO Co. & Rotterdam School of Management MBA 2012 kim.diypro@gmail.com
댄디킴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total
  • today
  • yesterday

전원 on/off가능 스위치, 실내온습도 센서, 이산화탄소센서, 토양온습도센서, 관수되는 물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프리필터, 배수를 위한 수중모터, 물감지센서, 솔레노이드밸브, 배수에서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채반, 관수후 나온 물이 모일 고무다라, UV와 IR이 포함된 LED식물조명, 측면에 빛을 공급하고 습도를 유지할 반사시트, 공기압밸브, 수직으로 최대한 식물을 쌓아올리기 위한 선반, 선반에 녹을 방지하고 배수를 위한 PC골판, 나무의 성장을 확인하고 기록하기 위한 카메라, 마지막으로 무엇보다도 이 모든 것들을 조건에 맞춰서 자동으로 작동되게 할 IFTTT(조건문)

 

위에 언급된 것들이 지금까지 스마트팜을 구성하면서 사용했던 것들이다. 아마도 언급된 것보다 많으면 많지 적지는 않을 것이다. 정장입은 농부라는 예명을 사용하며, 동영상도 찍고 꾸준히 나무에 대해서도 공부를 하고 있다. 나무라는 것도 생물이다보니 정성을 주면 그만큼 잘 자라는 것이 맞기는하다. 간혹 드는 생각이지만 아무리 인공지능이 발달하고 빅데이터로 나무들을 관리한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사람의 오감으로 판단하는 나무의 상태가 가장 정확하다는 생각이든다. 물론 1년도 채되지 않은 초보임업가보다는 인공지능이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오겠지만 말이다. 

궁극적으로 내가 임업인을 하면서 얻고 싶은 것은 2가지인거 같다.

1. 나무를 키우면서 얻는 개인적 달성감(취미)

2. 장차 회사에 도움이 될 비즈니스 기회의 발굴

비즈니스라는 것은 꽤나 다양한 것들이 있을수 있을거 같다. 나무기름에 필요한 스마트팜용 설비자재의 판매, 길러진 나무의 판매, 앞서 언급된 설비자재를 통해 수집된 빅데이터의 보급 정도가 떠오른다. 마지막 언급한 빅데이터의 보급이 가장 하고 싶은 일인데 그러기 위해 지금 가장 필요한 것은 지금처럼 조건문으로 자동 작동되게 할 IFTTT문에서 그치는 것이 아닌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송가능한 APP일 것 같다. 나아가 분석도 된다면 좋겠지만 아직은 어떤 분석이 좋은지에 대해서도 알수없으니 엑셀로 APP에서 자료를 받아 PC에서 분석하는 것이 나을듯하다. 하나 걱정은 APP을 만든다고 해도 충분히 많은 사람들이 설치하고 사용해야 하는 것인데 어떻게 가능하게 만들지가 문제이긴하다. 적어도 실내온습도, 조도센서, 토양온습도, 성장확인가능한 수단(내가 지금 사용하는 것은 카메라영상을 AI로 분석하는 것이다.) 정도는 필요한다. 물론 하나하나의 가격으로 따지면야 100달러 정도면 가능한 저렴한 것들이긴 하다. 문제는 여러 센서들을 사용하다보니 그 오차범위가 생각보다 상당하다는 것이다. 비교적 정확할 것이라 생각했던 실내온도센서도 대략 3도차이는 있었다. 토양습도센서는 30%까지도 날 정도로 엄청나다.(사실 토양센서중에는 50~100% 사이에서는 공식적인 오차범위가 10% 인 것도 있다) 물론 내가 만들 APP에서 제조사별 오차범위를 사전 측정하여, 데이터 계산에 반영한다면 해결이 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센서종류가 엄청많은 것도 아니니 이게 상당히 현실적인 방법일거 같다. 

 

posted by 댄디킴

신지식농업인은 농림축산식품부 선정 운영 제도

http://www.farmig.com/page/page03-1.html

선발된 대상들과 선발 기준으로 볼때 단순 농산물 생산보다는 부가가치를 높일수 있는 

유통, 가공등에 비중을 두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http://www.farmig.com/page/page03-2.html

 

 

산림청과 국립공원공단의 차이

현재 산림청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의 기관이다. 산림녹화가 주요시책이었던 시절은 가고, 현재는 소득사업을 중심으로 변모되고 있다. (나무위키 링크)

환경부 산하의 국립공원공단과는 정반대의 업무를 가지고 있는데 산림청은 개발을 통한 소득증대, 국립공원공단은 산림보존을 통한 산림보존이 핵심이기 때문이다.

 

 

임업후계자 선정에 대한 질문

임엄후계자는 시장 및 군수에 의해서 선정됨.

3가지 자격요건이 있는데 55세 미만의 경우는 경영이라는 측면에서 선발을, 연령제한이 없는 경우는 재배라는 측면에서 선발을 하고 있다. 

내용상으로만 보면 55세 미만을 전문경영이라는 측면에서 우대를 하는 느낌이다.

전문임업인기반 조성사업의 융자 대상자를 보더라도 만65세이상은 대상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볼때 더더욱 그렇다. 

신기한 것은 전문임업기반조성 사업 융자의 경우 법인에는 대출이 불가하다. 아마도 대출회수에 대한 이유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사립휴양시설이라는 것이 

 

임업을 행하기 위해 사용등록하는 토지가 기존에 다른 임엄후계자에 의해서 사용되었던 토지인 경우

다른 임업후계자가 직계존비속인 경우

해당 토지에 산림소득사업에 대한 공모에 기선정되었던 경우

 

posted by 댄디킴

경제성장율이 4%대를 유지한다면 부동산 가치도 4%는 증가되는 것이 맞는 것인가?

이 글은 지극히 개인적인 궁금증으로 작성하는 것이다.

경제성장율이 4%인 것은 100이었던 것이 104이 된다는 것이고, 4은 무형과 유형의 자산증가로 이루어져 있을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경제성장범위는 한 국가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겠지? 사실 경제성장율이 4%라 하여 부동산이 4%일리는 없고, 한 국가의 자산을 이루는 요소들이 각각 오르고 내려서 4%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부동산자산가치는 국가 자산 10020인데, 2050% 올랐고, 기업가치는 국가 자산 10030인데 -20% 내렸다면, 부동산과 기업가치를 합해서 경제성장율 4% 인 것인가?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GDP)은 한 나라의 영역 내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기간 동안 생산한 재화 및 서비스의 부가가치1)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하여 합산한 것으로 여기에는 비거주자가 제공한 노동, 자본 등 생산요소에 의하여 창출된 것도 포함되어 있다. 라는 정의를 바탕으로 고민해보자.

정의를 보니 총생산량 자체를 보는건가보다.

GDP 증감은 작년과 올해 GDP간의 비교인듯함

그러면 부동산 가격상승은 GDP에 반영은 안되는거겠군? 새로짓거나 리모델링해서 변화되는 가치말고, 그냥 보유해서 변화되는거는

posted by 댄디킴

결혼전에는 특히나 부동산에 크게 관심이 없었다.

사무실을 마련을 준비하면서 특히 경매를 관심가지고 보기 시작했고, 지금은 바쁘신 아버지를 대신하여 집안의 부동산을 관리하는 것으로 관심이 생겨나고 있다.


최근 전세난이 매우 심각하다는 뉴스가 연일 나오고 있다.

서울 강남외곽지역의 재건축이 진행되면서 수만가구가 전세를 구한다는데 우리 방배동 집은 전세가 안 나간다.

특히 3층은 내가 결혼을 하면 살고자 했던 곳으로 매우 전망이 좋고 햇빛이 잘드는 곳이다.

발코니를 포함하여 실평수 30평정도임에도 1억 중후반으로 매우 저렴하다.

혹시 관심있는 분은 아래 연락처로 연락주시면 설명과 사진 보내드리겠습니다.

1층 원룸과 방3개짜리도 있어요


김명중 010-5248-4630


[Untitled].pdf


[Untitled]_2015011910392400.pdf


posted by 댄디킴

최근에는 휴가철에 많이 해외여행을 갑니다. 하지만 모두들 시간과 자금적 여유가 되는 것은 아니기에 국내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자 합니다. 

국내 여행에서는 단연 최고인 것이 해변 혹은 계곡이지요. 해변과 계곡, 그리고 산까지도 함께 즐길 수 있는 것이 바로 강원도의 매력입니다. 저의 아버님이 운영하시는 강원도 평창 뇌운계곡의 고추잠자리 펜션은 이런 강원도의 매력을 한껏 느껴볼 수 있는 곳입니다.

뇌운계곡은 레프팅을 많이 하는 곳 중의 하나인데 마침 지금은 비가 많이와서 상당히 레프팅을 즐기기에도 좋습니다.

혹은 낚시를 즐긴다거나 산을 가보는 것도 가능하지요. 팬션 바로 앞의 뇌운계곡이외에 금당계곡도 멀지 않은 곳에 있어서 다른 주변 볼거리도 많은 편입니다.

강원도는 여름에도 정말 시원해서 보일러를 껴고 자게 됩니다. 추워요... ㅎㅎ 


저희 고추잠자리에는 한국 토종닭을 기르고 있습니다. 고려닭 품종입니다. 병아리와 암닭도 있답니다. ^^


계곡을 다리 위에서 바라본 사진입니다. 놀러온 아이들이 즐겁게 놀고 있군요.


길건너에서 펜션을 바라본 전경이에요.

건물 외벽에 보면 고추잠자리가 그려진 것이 보입니다. ^^


저도 참 오랜만에 보았습니다. 정말 큰 호박벌을 만났네요. 최근 꿀벌이 없어지고 있다고 난리인데 강원도는 강원도인가 봅니다. 청정 자연이네요 



저희 아버님께서 야심차게 만드신 연못입니다. 펜션에 허름한 포크레인이 있는데 그걸 이용해서 직접 파셨습니다.

펜션의 대부분의 공사는 아버지께서 직접 하신 거랍니다. 


포스팅 보시면서 저희 고추잠자리 펜션에 흥미가 생기셨나요?

그렇다면 아래 링크를 방문하셔서 예약해주시면 됩니다. ^^

http://reddonbo.com


posted by 댄디킴

sdf

한동안 주춤하던 태양광발전이 최근 다시 활발해지는지 문의 및 상담전화가 부쩍 늘고 있네요.

이중에서도 가장 최근이며 흥미로우면서 유사했던 두가지를 이야기할까 합니다.

태양광발전

우선은 구슬형상의 렌즈를 이용하여 트랙킹이 필요하지 않은 태양광발전기입니다.

독일의 건축가가 자신의 딸의 장난감을 보고 영감을 얻어 만들어진 제품이라고 합니다.

태양광발전

구형 태양광발전

 

 

렌즈는 아크릴폴리머를 이용하여 만들어지고 내부는 물로 채워지는데 현재는 직경 10cm 핸드폰 충전용 제품이 만들어져 있고 27.5Whr의 전력을 만들어 내며

최종적으로 가장 큰 제품은 180cm렌즈를 이용한 제품으로 최대 3.4kWhr를 하루동안 만들어 낼 수 있다고 합니다.

 

위 제품의 장점으로는 트랙킹이 필요치 않다는건데 실제적으로는 배터리셀이 집광면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큰 차이는 없는 것 같습니다.

또한 빛을 한곳에 모으기 때문에 기존 제품 대비 25%이하의 셀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원형 태양열

원형 태양광

추적형 태양광

추적형 태양광

 

문제는 효율성일텐데 위의 두 사진을 보았을때 집광부에 손을 넣을 수 있을 정도로 저온인 것과 렌즈로의 입/출광량을 보았을때 고효율의 제품은 아닌듯 하여

발전의 용도보다는 정원등에 인테리어 용도로 사용하고 부가적으로 전기생산을 하는 정도라면 괜찮을 듯 합니다.

()다이프로는 프레넬렌즈와 전반사거울을 취급하는 전문광학기업으로  

프레넬렌즈설계부터 양산까지 one-stop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왜곡이 없는 92~98% 고반사율의 다양한 전반사광학거울을 수입 생산하고 있습니다.  

 

Tel. 070-7605-0693 

Fax. 031-888-5445  

http://diypro.co.kr/

 

posted by 댄디킴

박경철씨의 저서 중 자기혁명을 읽고 있다. 한국사회에 닥쳐올 새로운 질서 챕터 중 "폐기를 바탕으로 한 성장의 시대"라는 표현이 나온다.

너무나도 와닿는다.

'앞으로 닥쳐올 새로운 질서는 무분별한 대량생산 방식이 아니라 친환경적이고 화석연료나 자연자원을 많이 소모하지 않으면서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새로운 산업시스템이 중심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RSM을 선택하는데 가장 큰 이유는 지속가능 성장을 자본이 아닌 환경측면에서 보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MBA를 졸업하고 어느덧 2년이 접어드는 시점에서도 어떻게 의미있는 기여를 할 것인가?라는 답변을 못하고 있다.

상품이 본래의 가치를 받게 만드는 일을 하고 싶다. 소비자들이 구매를 하게 만들면서도 동시에 상품의 가치과 생성과정을 올바르게 느낄수 있도록 하고 싶다.

스스로 초과만족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필요수준의 소비만 하도록 하고싶다.

소비자들은 초과만족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술은 더더욱 발전하는 산업은 어떤 것이 있을까?

통신사업이 가장 두드러진 것이 아닐까?

posted by 댄디킴

http://blog.naver.com/riblog/188795484

 

위 링크의 글중 일부를 발취한 것입니다.

 

------

월 소득이 $500 미만으로 살아가는 세대가 대다수인 아프리카와 동남아 인구에게 이윤을 취할 것인가? 라는 윤리적 관점의 반박을 할 수도 있지만, 적정기술을 비즈니스로 접근하는 것은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싶다. 비즈니스 분야에서는 기존에는 구제 혹은 수혜의 대상으로 여겨졌던 개발도상국의 40억 인구를 고객으로 보기 시작한지 이미 오래되었다. 샴푸, 화장품등을 판매하는 생활소비재 기업인 P&G나 유니레버는 중국이나 인도시장을 위해 값이 더 싸고 작은 단위로 쪼개어진 비누와 샴푸를 팔고 있다. 이들은 시장기회를 파악하고, 적합한 제품을 개발하고 지역 속속들이 판매망을 넓혀나가고 있다. 오죽하면 빌 앤 멜린다 게이츠(Melinda Gates)는 아프리카 전역에 콘돔을 보급하는 것은 그토록 어려우면서, 어디를 가나  코카콜라를 발견할 수 있는 일에 개탄하면서 비영리 단체들이 코카콜라의 보급력을 배워야 한다고 했다.

 

 

번외로, 그래서 등장했다. 코카콜라 유통망을 이용하여 빈공간에 구호품을 끼워넣은 Cola Life


    적정기술을 무료 배포 관점이 아닌 비즈니스 관점에서 접근하면 현지인들의 적정기술 사용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국제개발을 철저히 비즈니스 관점에서 접근해온 킥스타트는 농부들이 제품을 구매를 하는 경우, 무료로 받았을 때보다 훨씬 사용율이 높다고 한다. 킥스타트는 개도국 농민들이 관개용수를 쉽게 끌어올 수 있게 하는 펌프를 판매하고 있다. 그들이 10여년 동안 사업을 진행해면서 누적된 데이터에 따르면 농가들은 펌프를 무료 받은 경우 사용 비율은 30%밖에 되지 않지만, 구매 시에는 이 수치가 80% 수준으로 상승한다고 한고 있다. 일반 소비자 관점에서도 무료로 받은 제품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소비를 게을리하지만, 100원이라도 돈을 내고 구매를 하게 된 경우 이미 지불하게 되는 매몰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보다 열심히 물건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의 이치와 마찬가지다.

     이 글에서는 비즈니스 관점에서 적정기술을 보급한 성공사례들을 통해  그들의 접근방식의 핵심요소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출처] Mission I'mpossible, 세상을 구하고 돈도 벌다. |작성자 루트임팩트

----

2011년 RSM MBA 재학 시절부터 개발도상국을 위한 빔프로젝터 개발을 구상중입니다.

3년째 구상만하고 있으니 좀 부끄럽군요. ^^;

교육이 주는 효용과 그것을 부스트 시킬수 있는 집체교육을 감안한 것이지요.

부가적으로 후진국의 중요한 교육수단이자 생활 수단인 핸드폰의 전력공급을 해결하는 충전서비스도 생각을 했습니다.

어찌보면 충분히 가능한 일인데... 어째서 저는 계속 늦추고 있는지..

가장 큰문제는 위의 글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유통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다시 한번 개발에 대한 의욕이 앞서는데 과연 어떨까요? 흠~

posted by 댄디킴

I received a mail that asking fresnel lens for solar sintar.

-------------

Hi,

I want to build this kind of machine:
http://www.youtube.com/watch?v=Tsk-24UYFs0

Can you recommend me what type of lens I have to buy ?

 

----------

Hello,

 

I highly recommend CP1300-1100.
It is slightly bigger than lenses in the video.
Please check the dimension from below.

My Email is kim.diypro@gmail.com and Tel : +82 70-7605-1652 

Inline image 1

 

 

posted by 댄디킴

얼마전 GSBC에서 운영하는 LED조명기기 측정실무 과정을 들었다. 과정 중 빛공해에 대해서 조명연구원의 강사님으로부터 듣게 되었는데, 아는게 렌즈이다보니 프레넬 렌즈로 빛공해에 도움이 되겠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빛공해를 차단하는 렌즈를 개발해볼까 하는 생각이 좀더 솔직한 발언이려나? ^^;

 

교육에서 이해한 바에 의하면 빛공해는 조명에의해 발생한 빛이 목적하지 않은 곳에 비춰지는 것을 말한다.

조명은 분명 필수적인 것이니 그 자체는 공해일수 없지만, 의도한 목적을 넘어선 것은 공해라 보는 것이다.

예를 들면 거리의 가로등 불빛이 집안 침실로 들어와 수면을 방해한다면 이건 빛공해이다. 가로등은 거리를 비추는 의도로 설치된 것이지 침실을 밝히는 목적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럼 이런 경우 렌즈는 어떤 역활을 할수 있다는 걸까?

보통 조명기구에서 광량을 늘린 경우는 그만큼 목적한 곳에 도달할 필요가 있으니까이다. 3m 가로등에서 지면에 1m 지름안에 5000 lux로 균일하게 비춰야 한다고 가정해보자. 조명 광원이 LED인지 메탈할라이드인지에 따라서 다르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광원은 별도의 광학부(렌즈 혹은 reflector)가 없다면 120도가 넘는 방향으로 상당히 넓게 비춰진다. 광원이 180도 면적으로 퍼진다면 60도 면적만큼 비춰지는 것에 비해 밝기 차이가 1/3나는 것이다.

이렇게 광의 범위와 방향을 조절해 줄수 있는 것이 광학계인 렌즈와 reflector이다.

우리가 취급하는 프레넬 렌즈는 대부분이 평판이다보니 기존의 메탈할라이드 램프에는 적용이 어렵다. 하지만 최근 많이 사용하는 LED 가로등이나 LED 광원등에는 매우 사용이 좋다. 실제로 Lite Panel과 ARRI와 같은 업체에서는 COB타입의 LED광원에 프레넬 렌즈를 적용하여 제품을 출시하였다. 모두 빔각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아래 동영상은 멀티어레이된 LED 패키지에 적용한 동영상이다.

 

----

광학계 문의

(주)다이프로 김명중 대표

010-5248-4630 / 070-7605-1652

kim.diypro@gmail.com

posted by 댄디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