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Myung Joong KIM CEO of DiYPRO Co. & Rotterdam School of Management MBA 2012 kim.diypro@gmail.com
댄디킴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total
  • today
  • yesterday
현대重·LG·삼성 "이젠 태양전지다"

기사를 보면서 한가지 궁금한 점은 LG그룹 내에서 과연 LG전자가 여전히 맏형일까? 라는 것이다.
계속해서 느껴오는 차이이지만 삼성과 LG는 추구하는 방식이 좀 다르다는 느낌이다.
상인과 선비의 차이라고 할까?
제품 기준으로 보았을때 삼성은 가지고 있는 것 이상의 show up을 잘한다. 그에 비해 LG는 내실은 있는데 소비자 입장에서의 조금의 마감과 어필이 잘 않된다.
이건 처음이 생각을 가지게 된 15년 전에 비해 지금도 여전히 마찬가지이다.
(당시에 처음 생각을 가지게 된 계기는 사촌 컴퓨터을 고쳐주면서였다.)
워낙 고고하신 집안이라 그런가? 태양전지 산업도 LG디스플레이와 LG전자가 겹치는데 그게 왠지 걱정이 된다.
만약 삼성이 이 상황이라면 결국엔 되는 놈 하나 잡아서 않되는 넘은 삼성 카메라처럼 한쪽으로 몰아주게 될것이지만 왠지 LG전자의 경우는 걱정이 되는 것도 사실이다.
지금 LG전자의 주가는 매수를 하기에 적절하다는 생각이다. (물론 개인적 판단이고 적어도 3년은 들고 있는 다는 생각으로 이야기하는거다)
현재 조사중인 지속가능평가지표의 결과를 대입해보고 싶기도 하지만 아직까지는 데이터가 너무 적다.
정말 LG전자에 CMO가 대단한 사람이 하나만 들어와도 바로 살텐데... ㅎㅎ
posted by 댄디킴
경동나비엔, 경기도에 1400억원 투자

3년간 1400억원이라는 금액만이 명시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어떤 설비를 생산하기 위한 공장인지는 내용이 없다.
홈페이지를 방문했는데 업데이트가 잘 않되는 느낌이다.
연구설비가 아닌 생산 설비인거 같은데 뭘까?
posted by 댄디킴
농업이 녹색성장의 주역이 될수 있을것인가?
그렇게 믿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까지 어떻게 해야 된다는 생각은 감이 오지 않는다.
감이 오지 않는 부분이 정확하게 이야기하면 어떻게 유지를 위한 수익을 만들수 있을까? 라고 말하는 것이 솔직할듯하다.
이전과 구축단계에서 컨설팅 비용을 받는다. 구축과정에서 시설지원을 하고 비용을 받는다.
운영과정에 소비되는 자재를 판매하여 수익을 얻는다. 지극히 당연한 구조이다.
더 이상 획기적인 방안을 마련하기 보다 기본에 충실해야 하나?

posted by 댄디킴
2010. 1. 30. 14:30 인생이모작/가격 전략
사실 결정까지는 쉽지 않았지만 지금 이렇게 GMAT강의를 듣고 있으니
마음이 안정이 되는 기분이다
posted by 댄디킴
2010. 1. 29. 16:57 인생이모작/가격 전략
네덜란드에 있는 RSM Erasmus University의 MBA를 목표로 하는 것이 과연 맞을까?
사실 넘기에는 상당히 높은 산인것도 분명하다.
어제 글을 쓴이후로 마음 속으로 조금은 접고 있었는데 오늘 Aspen Institute에서 발표한
윤리경영교육 대학원 평가자료를 찾아보고 마음이 흔들린다.
유관 과정도 많이 설립되어 있고 세계랭크에서도 7위에 마크되어 있다. (전세계 평가에서는 25위)

우선 내가 과연 될까? 라는 걱정과 여전히 가서 해외에서의 자리를 잡을수 있을까? 라는 우려가 지배적이다.
오늘 아침에는 GMAT 문제집도 보았다. 수학이었는데 뭔지 모르겠다.....
과연 600점을 맞을수는 있을까?
당장 걸리는 것은 주말에 병원을 못간다. 데이트를 못한다. 내일 약속이 있다.
말하고 보니 참..
회사를 다니면서 700점을 맞았다는 사람도 있다. 물론 그 사람과 나는 베이스가 다르다.
하지만 단순히 공부를 하는데 있어서의 여건은 내가 더 우월하다.
도대체 왜 고민하고 있는가?
6800만원의 학비, 1년의 시간, 체류비용 3000만원가량
따지니 결국 1억이군...
지금 조금은 안정권이라 생각하는 aSSIST는 과연 정말 안정권인가?
당장의 상태에서는 이것도 의문이다.

점프를 해야하는 시기인데 요행만을 바라고있는 것은 아닌가?
한편으로는 유학원의 감언이설에 속아서 현실성없는 목표를 가지게 된 것은 아닐까하는 걱정도 있다.
대체 무슨 생각들이 이리 많단 말인가...
그래봐야 8월이면 아웃라인은 나올것이고 12월이면 결정이다.
이 선택을 하지 않는다면 나한테 2월~ 7월까지의 더욱 좋은 계획이 있는가?
posted by 댄디킴
체험학습을 통해 아이들은 정말 많은 것을 배우게 된다.
자유와 교육이 만났다. 배움이 커졌다. 에서 언급되는 것처럼 교과이외의
프로젝트 수업과 여러 활동들에서 아이들은 진정으로 커나갈수 있다.

교육의 중심인 서울을 벗어나서도 아이들이 정상적으로, 아니 오히려 더 성장할수 있는 방법이 무엇이 있을까?
posted by 댄디킴
홈페이지라도 하나 만들고 다른 사람들과 의견을 나눌수 있는 공간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있지만
일단 뭐하나 아이디어가 있는 것이 아니고 그냥 떠올라서 올리는 것이니
나의 블로그에 이정도 상태로 시작하는 것도 나쁘지 않으리라는 생각이다.
귀농을 지원한다는 것은 어떻게 보면 얼마든지 현재도 이루어지는 일이고
그리 대단한 일이 아닐수도 있고 무엇보다 소위 말하는 돈이 되는 일은 아닐거다.

그 시작은 내가 지속가능이라는 것을 고민하며 산티아고 순례자의 길을 다녀오고
자발적 가난과 노동집약적 중급 산업이 답일 것이다. 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면서 부터라고 본다.
방법으로는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해 전혀 감도 없던 나에게 어제 2010 Insight KOREA를 통해서 접한
박원순 변호사님의 강의는 큰 도움이 되었다. 그리고 그분의 마을에서 희망을 만나다 책 역시 아마도 나에게 큰 도움을 주리라 본다.

창의성 떨어지는 행복한 노동본부라는 이름이지만 일을 통해서 행복하지 못한 사람이 얼마나 많은가?
모두가 행복해하며 일을 할수 있는 것을 돕는 것이다.
지금은 철저히 나 혼자의 힘으로 시작을 하게 되지만 뜻이 있는 사람들이 모이게 될것이다.
posted by 댄디킴
교수출신 CEO의 `아이디어 노트` 경영

신입사원 시절에는 정말 많은 아이디어들이 나온다.
물론 때로는 이것들이 기회의 현황과는 맞지 않아서 현실적이지 못한 경우도 있지만
잘 들여다보면 그 현실적이지 못하다는 것이 기존이 해오던 방식에서 현실적이지 못한 것이지
새롭게 도전을 해서 이룬다면 퀀텀점프를 할수 있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그런 면에서 구자균 LS산전 부회장의 프레시 아이디어 노트는 상당히 좋은 방법이라는 생각이다.
다만 문제는 그 의견들이 어느정도가 반영이 되는지가 있기는 하지만 그렇다고는 해도 최고경영자의
이런 접근 방식은 상당히 좋은 결과를 가져 올것이라 생각이 든다.
posted by 댄디킴
2010. 1. 29. 00:44 인생이모작/가격 전략

오늘 Insight 2010 Korea를 듣고 나서 이대역 근방에 있는 서울과학종합대학원을 방문했다.
석박사 중심의 대학원이라 그런지 건물은 달랑 한개.. 하지만 잘 생각해보면 다른 대학들도
경영대학원 건물이 하나이지 두개이지는 않다.(두개인 것도 있나?? 갑자기 불안함 ㅡ.ㅡa)
아무튼 조금 작지만 일단 위치도 이대에서 5분정도 거리에 있고 그렇다고 내부 시설이 않좋은 것도 절대 아니기에 시설에 대한 불만따위는 없다.

GL MBA를 담당하시는 배수연 선생님은 정말 친절하셨다.
무엇보다 학생을 대하는데 있어서 권위적이지 않은 자세 그리고 일단 해봐 될거야 라는 식의 모습이 없어서 정말 좋았다. MBA과정을 준비하는데 있어서 입학담당자의 밑도 끝도 없는 긍정적임에 적지 않게 당한 나였기 때문에 더 마냥 좋은게 좋은거라는 모습이 더 싫은 걸지도 모르겠다.
간단히 내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윤리경영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학교와 과정에 대한 소개를 받았다.
들으면 들을수록 "내가 원하는 과정이다"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다른 스쿨들과 달리 aSSIST는 윤리경영, 사회적 책임에 대해 많은 내용을 다룬다. 실제로 과정의 내용중 일반적인 경영스쿨에서의 과정들이 상당히 적게 포함되어 있다는 것에 충격을 받았다. 물론 헬싱키과정으로 커버링이 되기도 하기는 하지만 그래도...
짚어보자... 내가 국내의 다른 MBA(여기서는 현재 나에게 가능성이 있는 고대와 SKK GSB정도라 하자)를 나온다면 나에게 선택은 국내 대기업의 대리정도로 입사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근무를 하겠지. 근데 그게 내가 원하는 일인가? 그럴거라면 굳이 능률협회를 나왔어야 하는 이유도 없다는 생각이다.
10년안에는 나의 힘을 키워서 사회에 보탬이 되는 기업을 만들고 싶다. 근데 2년후에 대리달고 대기업을 들어가면 10년안에 사회에 보탬되는 기업을 만드는 일이 가능할까? 회사를 다니며 기간동안 이후에 사회적 기업을 위한 내 능력을 배양할수 있을까?
GL MBA를 선택하면 대기업으로의 대리 입사는 힘들것이다. 적어도 위의 두 MBA에 비해서는 힘들것이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Non-profit을 선택하고자 한다면 GL MBA는 두코스와는 비교되지 않는 확실한 실력을 배양하고 연결고리가 될수 있을거라는 확신이 들었다.
 아마도 내 수중에 돈은 못 벌겠지. 하지만 항상 내가 후배들에게 한 이야기가 뭔가?
 좋아하는 일 하면 돈은 따라와.
그 따라오는 돈이 내돈이 되지는 않겠지만 관계없다.
멘체스터를 다녀오며 국제개발 석사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졌던 나로서는 지금 서울과학종합대학원에서 다루는 기업의 사회적 구성원으로 마땅히 가져야 할 윤리에 대한 많은 과정과 토론들이 너무도 기대되고 더불어 조지메디슨 대학에서의 공공정책과 석사 과정이 기대된다.
 그래 하는거다. 뜻이 있는거잖냐. 하하~

posted by 댄디킴
오늘 김종욱 대표님과 뵙고오니 생각이 또 많다.
사람들에게 환경에 대해서 알리는 활동, 사람들의 행동을 변화시킬수 있는 행위를 하고 싶은 것이 내가 가지고 있는 소망중의 하나이다.
지금의 사람들의 소비에 대한 욕구를 de마케팅을 하고 절약하도록 만들겠다는 생각.
문제는 돈이 않되서 회사를 운영은 못하겠고 회사는 당연히 나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은 필요하지 않고.
기업에서 친환경 활동에 대한 알림을 니즈로 가지고 있을까?
당연하게 생각해보면 이것들은 기존의 온라인 대행사 등에서 얼마든지 할수 있는 일이기는 하다.
음... 아니다. 친환경 이벤트전문 대행사...
말나온 김에 검색해봐야지
전문 대행사 따위는 없다.
하지만 많은 기업들이 직접(물론 대행을 주었을 가능성이 농후하지만..)시행했다.
친환경 전문의 키워드와 행사라는 것이 존재하는가?

문제는 말이다. 갑입장에서의 이벤트 목적이 결국엔 수익창출일텐데...
수익이 아닌 진정한 사회공헌 활동만 받는다면... 그걸 돈을 주고 하려할 것인가?
그린워시를 피해가면서 기업을 최대한 알릴수 있는 일을 하는 기업

http://blog.naver.com/kunchangdayo/40092985662
인도에서의 그린 브랜딩에 대한 소개

뭐야... 이거 되는거야?
아....
posted by 댄디킴